안녕하세요 우타냥입니다^^

저번에는 사각, 원형으로 영역을 선택해 이미지 따는 방법에 대해서 글을 올렸어요

이미지의 한 부분을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정해진 틀을 이용해서 이미지를 따는 방법이었어요

 

오늘 나열할 Lasso Tool은 마우스를 움직이는 대로 자유롭게 이미지를 선택이 가능한 툴이랍니다

 

포토샵 왼편의 Tool Bar를 보시면 위와 같은 아이콘이 보이실 거에요

이 아이콘이 Lasso Tool이고 단축키는 L이에요

Lasso Tool(올가미 툴)의 종류가 총 3가지 인데 전부 단축키가 L이라는게 의아하시죠?ㅎ

이렇게 단축키가 전부 똑같을 경우에는 해당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 단축키를 누르면 선택되어 있는 아이콘을 사용하는게 가능하답니다

즉, Polygonal Lasso Tool이 선택되어 있는데 Magnetic Lasso Tool을 이용하고 싶어 단축키 L을 눌러도 마우스는 Polygonal Lasso Tool 모양으로 표시가 바뀐다는 말이죠...ㅎ 

 

자, 쓸데없는 얘기는 요기까지!!!!!!!ㅎ

 

제일 위에서 부터 순서대로 알아볼게요

이미지를 가져와서 직접 툴을 사용하면 어떤지 보여드릴게요

요기 파란색 체크무늬 국그릇을 Lasso Tool로 영역 지정해서 이미지 따볼게요ㅎ

 

1.Lasso Tool, 올가미 툴 : 마우스를 자유롭게 드래그 하여 선택 영역을 지정 가능

 

말 그대로 마우스를 클릭한 채로 손을 떼지 않은 상태에서 마우스를 움직여 이미지를 딸 수 있어요

대신 울퉁불퉁하게 이미지가 따지죠?ㅎ

요런 툴은 그냥 뒷배경이 흰 이미지에 적합하지 않나 생각해요

 

2.Polygonal Lasso Tool, 다각형 올가미 툴 : 마우스로 지점을 클릭, 클릭해 직선으로 연결하여 영역을 선택 지정 가능

 

이 툴은 곡선 표현이 안되기 때문에 직선으로 그냥 이어서 이미지를 따는게 가능해요

올가미툴은 마우스를 놓지 말고 그려야 하는 반면, 이 다각형 올가미툴은 첫 지점을 반드시 클릭을 해줘야만 시작이 되요

첫 지점을 클릭하고 그다음 이미지를 따고 싶은 영역만큼 직선으로 클릭, 클릭해준 뒤 마지막에는 처음에 찍었던 지점으로 다시 가져가서 마무리를 해주면 영역이 그려진답니다

그리고 여기서 한가지!! 처음에 찍었던 지점을 찍어서 마무리 하지 않아도 Ctrl을 누르면 영역을 강제로 마무리하는게 가능하답니다

 

3.Magnetic Lasso Tool, 자석 올가미 툴 : 자석에 붙는 것처럼 이미지간에 색상 차가 나는 부분을 따라서 자동으로 영역을 선택 지정 가능

 

이 자석 올가미툴 역시 아까의 다각형 올가미툴과 마찬가지로 첫 시작지점을 반드시 찍어 주어야만 시작이 가능하답니다

이 툴은 위의 2가지 툴과는 다르게 조금 더 이미지의 모양대로 뒤에 쓸데없는 배경을 제외 한 채로 이미지 영역을 따는 것이 가능한 대신에 마우스를 이미지 모양대로 천천히 움직여 줘야지만 포인터가 생기면서 이미지가 잡힌답니다

급한 마음에 마우스를 조금만 빨리 움직여도 저처럼... 왼쪽 밑에 찌그러진 부분 보이시나요?ㅎㅎ

저렇게 된답니당 ㅋㅋㅋ

그래도 다른 툴에 비하면 편리하죠? 원하는 이미지만 딱 뽑아내니깐용

필요한 부분만 잘라내서 수정, 변형할 때 쓰기에 딱 좋은 아이콘이랍니다

 

다음은 옵션바 알아볼까요?

그런데 이 올가미툴에서는 옵션바를 쓸 일이 거의 없다보니...ㅎ

대충 요런거다~라고 간단히 설명만 하고 넘어갈게요

 

 

올가미툴과 다각형 올가미툴을 누르면 나오는 옵션바에요

요 옵션바는 Marquee Tool을 눌렀을 때 나오는 옵션바랑 비슷하죠?

영역 추가, 영역 빼기, 영역 교차... 가 가능해요

 

 

요런식으로 이용가능하지만 실제로 쓰일일은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되요

그리고 굳이 옵션바에서 안 누르셔도 Shift를 누르면 영역을 추가해서 선택 가능하니깐요ㅎㅎ

 

요 옵션바는 자석 올가미툴을 누르면 나오는데 아까랑은 다르죠?

 

Width, 폭 : 경계 영역 색상 추출 정도를 지정하는 것으로 수치가 낮을수록 색상을 엄격하게 구분하여 선택하게 해줌

 

Contrast, 대비 : 경계 영역 간의 색상 대비 정도를 지정하는 것으로, 수치가 낮을수록 대비가 적은 색상의 차이를 감지하여 더 정밀하게 선택 가능

 

Frequency, 빈도 수 : 선택점의 개수로, 선택점이 많을수록 정밀하게 선택 가능

 

혹시 몰라 적는데 이것 역시 잘은 안쓰여요ㅎㅎ

요런게 있구나라고 알고 넘어가는 정도면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당

 

 

posted by 우타냥